'빛으로'에 해당되는 글 120건

  1. 2015.06.22 참 예절, by 세상을 빛으로
  2. 2015.06.22 성령의 9가지 열매 by 세상을 빛으로
  3. 2015.06.22 예수님의 성품 7가지 by 세상을 빛으로
  4. 2013.01.21 전화 예절 by 세상을 빛으로
  5. 2013.01.21 태극기 PPT by 세상을 빛으로
  6. 2013.01.21 애국가에 대하여 by 세상을 빛으로 1
  7. 2013.01.21 삼각건 활용법 by 세상을 빛으로
  8. 2013.01.20 연 만들기 by 세상을 빛으로 1
  9. 2013.01.20 종이비행기 모음 by 세상을 빛으로
  10. 2012.06.29 가장 후회되는 일 10가지는 무엇인가? by 세상을 빛으로

참된 예절은 단순히 예법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배워지는 것이 아니다....

단순히 그 태도와 형식에 치중하고 그 방면의 교육에 너무 많은 시간을 쓰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청년들은 세상의 무지와 무거운 짐을 덜기 위해서, 또 날마다의 일상적인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만도 어렵고 마음에 맞지 않는 일로 분투해야 하므로, 세상의 관습에 따라

형식을 배우고 있을 여유가 없는 것이다...

참된 예절의 진수는 남을 생각해 주는 마음에 있다.

본질적이고 영속적인 교육은 동정심을 기르고 박애 정신을 조성한다.

소년 소녀들이 그 부모를 공경하게 하고, 부모들의 미덕을 높이 평가하고

그들의 결점을 덮어 주며, 필요할 때 도울 수 있게 하지 못하는 교양, 또는 약한 자와

불행한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갖고 부드럽고 관대하게 도와 주도록 하지 못하고

모든 사람에게 예의바르지 못한 소위 그런 교양은 실패인 것이다.


참으로 세련된 사상과 태도는 어떤 일정한 규칙을 지킴으로 얻는 것보다도

하늘에서 오신 교사인 예수님의 학교에서 더 잘 배울 수 있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마음에 충만할 때, 그 품성은 그리스도의 품성과 비슷하게 연마될 것이다.

이 교육은 하늘이 주는 품위와 예절에 대한 관념을 형성한다.

이것은 표면만이 세련된 유행 사회의 교육과는 도무지 비교할 수 없는 아름다운 성품과

우아한 태도를 주는 것이다”(교육, 240-241)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

성령의 9가지 열매

2015. 6. 22. 09:45 by 세상을 빛으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예수님의 성품 7가지

2015. 6. 22. 09:42 by 세상을 빛으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전화예절

 

1.먼저 자기 소개를 한다.

2.전화를 건 사람이 확인되면 먼저 인사부터 한다.

3.다른 사람을 찾으면 친절하게 기다리라고 말하고 바꾼다.

4.통화가 끝나면 정중하게 인사한다.

5.가능하면 전화를 건 사람이 먼저 끊은 후 수화기를 내린다.

6.잘못 걸려온 전화라도 친절하게 대한다.

 

'교육 > 패스파인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기 PPT  (0) 2013.01.21
애국가에 대하여  (1) 2013.01.21
연 만들기  (1) 2013.01.20
종이비행기 모음  (0) 2013.01.20
종이비행기- 칼로.. 멋짐  (0) 2010.10.01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

다음중 옳은 태극기는 몇번입니까?

 

태극기 맞는 것은.pptx

'교육 > 패스파인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화 예절  (0) 2013.01.21
애국가에 대하여  (1) 2013.01.21
연 만들기  (1) 2013.01.20
종이비행기 모음  (0) 2013.01.20
종이비행기- 칼로.. 멋짐  (0) 2010.10.01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

'교육 > 패스파인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화 예절  (0) 2013.01.21
태극기 PPT  (0) 2013.01.21
연 만들기  (1) 2013.01.20
종이비행기 모음  (0) 2013.01.20
종이비행기- 칼로.. 멋짐  (0) 2010.10.01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
네이버에서 캡처한 것입니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cid=910&docId=449771&mobile&categoryId=910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

연만들기 동영상 - (강추) http://kite.kr/40167773402

"한국전통연지기" 구입 - 1개 세트에 15000원

 http://koreakite.or.kr/world/world01.php

 

가오리연은 흡사 가오리와 비슷하게 생겨서 부르게된 것이다. 연의 형태가 마름모꼴인 가오리(꼬리)연은 꼬리를 길게 붙여, 긴 꼬리로 하여금 중심을 잡기 때문에 돌지 않으며 연을 쉽게 날릴 수 있고 만드는 방법도 간단하다. 인도네시아에서도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가오리연을 많이 날린다. 재료도 구하기 쉽고 만들기가 쉬워서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만들어 날리고 있다.


가오리 연의 재료

댓살 (5X5X440mm) 2개 한지 (270X270mm) 2장 종이 (20X20mm) 10개 실과 얼레
가오리연 만드는 순서
뒷면 - 댓살 붙이기, 옆 날개와 꼬리 붙이기

① 마름질

먼저 연의 크기를 정하고, 한지(韓紙)의 규격을 1:1 비율로 재단한다. (예, 가로31cmX 세로31cm)


② 그림 그리기

한지(韓紙)에 그리고자 하는 그림을 그린다.(물감,서예 등) <색(色)이 마른 다음 다림질을 하면 효과적>

③ 살붙이기
댓살을 2개 준비한다. (중심살 한 개, 허리살 한 개)
● 중심살(기둥살)을 먼저 붙인다.




● 허리살(가로살)을 반달 모양으로 붙인다.


● 허리살(가로살)을 반달 모양으로 붙인다.


④ 날개와 꼬리
● 양쪽(양귀)에 가로 1.5cm, 세로 30cm 길이의 날개를 붙인다.



● 2m정도의 긴 꼬리를 연의 뒷면 중살 아래 5cm 지점에 붙인다.(꼬리 길이 : 가로 3cm X 세로 2M 이상) 꼬리는 연이 날 때 연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한다.


⑤ 목줄 매는 법
목줄을 매기 전에 가오리연 두 곳에 꽁수구멍을 컴퍼스 침(針)등을 이용하여 뚫어둔다. <구멍을 뚫을 때, 중심살(댓살)에 바짝 붙여 뚫도록 한다.>




● 튼튼한 실 80cm 길이 한 가닥을 준비한다.

● 중심살(중살)과 허리살(가로살)이 교차하는 지점의 대각선 방향으로 꽁수구멍을 뚫는다.



● 중심살(중살)과 허리살(가로살)이 교차하는 윗부분만큼 아래쪽도 꽁수구멍을 뚫어준다.

● 목줄을 맬 때는 연의 앞면에 매며 대나무가 보이는 뒷면에 매면 안된다.


⑥ 연 중심잡기

위의 설명대로 하면 한가닥의 그네 줄이 된다. 두 줄을 합쳐 잡은 다음 연의 아랫줄 길이가 윗줄 길이보다 약간 길게(약 2cm 정도) 매듭을 묶는다.

출처 : 한국민속연 보존회 http://koreakite.or.kr/

'교육 > 패스파인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기 PPT  (0) 2013.01.21
애국가에 대하여  (1) 2013.01.21
종이비행기 모음  (0) 2013.01.20
종이비행기- 칼로.. 멋짐  (0) 2010.10.01
종이비행기접기_ 타임지 소개  (0) 2010.10.01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

(출처)

http://myhome.naver.com/minsang79/playing/paper%20plane.htm

제비 비행기


고속비행기


일반비행기


오징어비행기

 

 

 

4월 1일자 스펀지에 나오는 종이비행기접기

'교육 > 패스파인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국가에 대하여  (1) 2013.01.21
연 만들기  (1) 2013.01.20
종이비행기- 칼로.. 멋짐  (0) 2010.10.01
종이비행기접기_ 타임지 소개  (0) 2010.10.01
종이 비행기_ 날기 짱!  (0) 2010.10.01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

2012년 3월 31일 한국일보의 한 칼럼에 영국에서 실시된 이색적인 설문 조사가 소개되었습니다. 질문은 “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후회되는 일 10가지는 무엇인가?”였습니다. 10위는 결혼을 빨리한 것이었습니다. 9위는 추억이 많은데 제대로 사진으로 남기지 못한 것, 8위는 부모님이 살아계실 때 제대로 효도하지 못한 것, 7위는 젊은 시절 건강을 챙기지 않은 것, 6위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았던 것이었고, 5위는 담배를 배운 것이었습니다. 4위는 세계 여행을 하면서 견문을 넓히지 못한 것이었고, 3위는 좀 더 운동하지 못한 것이었고, 2위는 학창 시절 열심히 공부하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1위는 저축을 충분히 해 놓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죽음 직전에 가장 후회되는 일은 무엇일까요?” 김정운 교수라고 요즘 한국에서 인기 있는 강사는 말하기를 사람이 죽기 전에 세 가지 ‘껄껄껄’하며 죽는다고 합니다.

그것은 “좀 더 베풀면서 살 껄,

좀 더 용서하며 살 껄,

좀 더 재미있게 살 껄”입니다. 

'예화 > 세상을버려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장사 이야기  (0) 2011.11.28
마지막인것처럼~!  (0) 2011.10.20
불교인구  (0) 2010.05.21
선거 현수막 아이디어  (0) 2010.05.21
Posted by 세상을 빛으로
,